금천아티스트랩 2022
만남과 대화가 만들어내는 예술
예술가로 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청년, 낮에는 직장인 밤에는 마술사, 오늘도 수출의 다리를 건너 출퇴근하는 직장인, 우연히 금천구와 연이 닿은 기타리스트, 살아 있는 금천의 역사 교과서, 아이들의 고향인 금천을 고민하는 마을 공동체 활동가, 튀르키예에서 한국으로 온 이제는 세 아이의 어머니, 업무의 변화로 성장의 과정에 있는 재단 직원, 공연에서 시각예술 분야로 매일 배우는 개척자, 퍼블릭한 미술관을 고민하는 학예사, 작가, 주민, 운영진들 간 발산의 계기를 기대하는 운영진, 사회 속 불균형한 개인으로서 한걸음씩 나아가는 디렉터, 구로공단의 역사를 기록하는 관찰자 혹은 참여자, 현실적인 어려움 앞에서 예술 공간의 내일을 걱정하는 미술작가.
여기, 14명의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구로공단’의 지역성을 횡단하며 지역의 현재를 삶에서 마주한다. 일상에서 본인과 가족, 커리어, 취향과 신념을 위해 충실히 뭔가를 해나가고 있다. 아이들을 기다리는 놀이터에서 할머님들과 교류하거나 제로웨이스트 플로깅을 하는 것에서부터 마을 교과서를 만들고 전시 공간을 꾸리는 활동에 이르기까지, 매일의 고민과 어려움 앞에서 개인들의 소박한 서사와 발자취는 문화예술의 불모지에서 싹을 틔우는 역할을 한다.
‘지역의 문화예술은 어디에서 시작되고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라는 질문에서 시작된 전시 <14인의 목소리 14 Voices from Here>는 문화예술 정책이나 사업계획, 향후 비전을 논하는 대신에 지역의 사람들에게 주목하고자 한다. 초대된 14명은 금천을 생활권이나 거주지로 삼고 있는 주민 7인과 지역 문화예술 공간 종사자 7인으로 구성된다. 그들은 좌담회, 대담, 1:1 워크숍으로 구성된 총 3회의 만남과 대화의 장에서 서로를 마주하고 대화를 나눈다. 14인의 목소리가 섞이고 부딪치는 과정에서 창발된 영감은 예술가 3인에 의해 예술작품으로 탈바꿈 한다.
본 전시의 시작을 알리는 <사적인 연결고리>에서는 14명의 개인이 출품한 14점의 사적인 오브제가 소개된다. 사업일지, 큐브, 일렉기타, 작품 등 출품된 오브제는 개인의 삶과 지역을 연결시키고, 그들이 추천한 12 곳의 지역 문화예술 스팟과도 연동된다.
<고민들 vs 고민들>에서는 지역 문화예술 종사자 좌담회를 기록한 유장우 작가의 3채널 영상 <무제>와 좌담회 기록지로 구성된다. 미술 전시와 교육, 지역 산업의 기록과 조명, 예술가들의 창작 및 교류 지원 등 다양한 역할을 통해 지역의 문화예술 지형을 만들고자하는 무거운 고민들. 그러나 영상은 사회적 정체성의 이면, 언어 밖 개인들을 오롯이 마주하도록 그들 특유의 몸짓을 드러낸다.
<가상의 대화를 상상하는 지금>은 강은경 작가의 설치작업 <낯선 두 사람의 차 마시는 거리>와 가상의 1:1 대화록으로 구성된다. 14인 중 무작위로 매칭된 2인이 1:1로 차를 마시는 워크숍 진행 후 두 사람의 거리와 취향을 기록한 작업으로, 이미 선행된 3번의 세션과 전시기간 동안 진행될 세션으로 작업은 채워진다. 기록되지 않은 둘 사이의 대화는 지역의 오늘에 관한 14인의 생각들로 대신 채워본다.
<예술을 만드는 움직임>은 주민 대담의 일부 내용과 이에 영감을 받아 제작된 조재영 작가의 <그녀들의 정원>으로 구성된다. 개인의 삶과 결코 분리되지 않는 커뮤니티 활동은 예술활동이자 실천으로 변모하고 확장된다. 그들이 심은 작은 씨앗들로 자라난 지역의 풍경은 ‘사물,’ ‘도시’, ‘정원’, ‘여성’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조형작업 안에서 가시화된다.
총 4개의 섹션으로 구성된 본 전시에서 관객은 전시된 오브제와 예술작품을 통해 14인을 만나게 된다. 그만큼 인물 선정에는 신중할 필요가 있었다. 통계학적 수치를 근거로 참여 시민을 선발하는 극단 리니미 프로토콜(Rimini Protokoll)의 <100% 도시> 시리즈와 같이, 현 지역의 마이크로 사회를 구현할 인물 구성을 고민했다. 그리하여 주민의 경우는 인구통계와 사회조사를 근거로 금천의 현재 모습을 구성하는 중요한 7가지 키워드-서울디지털산업단지 근무자, 1인 가구, 20-30대 젊은 인구, 50년 이상 장기 거주자, 60세 이상 노년 인구, 생활권 인구, 결혼 이주 외국인-를 뽑고 이에 해당하는 인물들을 선정하였다.
한편 종사자의 경우는 서울시와 금천구, 구로구의 문화재단이나 민간에서 운영하는 전시 공간과 레지던시 등의 학예사, 큐레이터, 디렉터, 매니저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모두 지역사회의 주요 키워드를 함축하는 주민이자 지역의 문화예술을 고민하는 개인의 모습을 여실히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만남과 대화를 통해 작품이 제작되는 과정은 본 전시에 있어서 핵심적인 주제이다. 지역 커뮤니티에서의 예술이란 결국 개인 차원에서의 고민과 실행, 개인 간의 상호교류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다. 물론 만남과 대화는 쉽게 휘발되기에 일정한 결론을 도출하기란 간단치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역 사회의 현재를 이해하고 영감을 만들어내는데 유의미한 행위이기에 주목한다. 거창한 아젠다를 논하기에 앞서 개인의 의지들이 창발하는 소박한 결과물들에 감탄할 필요가 있다.
여기 14인의 개인들은 “각자 내부에 창조력을 가진 소중하고 능동적인 존재”이다. 그들은 이미 문화예술이라는 경계를 확장하고 대안적인 예술 활동을 통해 자아를 발견하고 있으며, 점진적으로 사회를 변혁시키는 잠재적 힘을 스스로 믿고 주체적인 존재로서 인식하고 있다. 본 전시는 이들의 모습을 서로 비추어보고 다름과 고민의 지점을 공유하는 장으로 관객에게 다가가기를 바란다. 이번 전시는 지역의 문화예술이라는 것이 실상 이러한 개인들의 만남과 대화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은 아닐런지를 묻고자 한다.
사람들 사이의 대화는 정교하게 아름다울 수 있지만 예술처럼 비참하게 실패할 수 있다. 혼란, 깊이나 관계성 부족으로 인한 실패 가능성은 나의 작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Conversations between people can be exquisitely beautiful, but they can fail miserably as art. It is part of the edge in my work, the possibility of failure through disruption or lack of depth or relationality.
- 수잔 레이시 Suzanne Lacy, Frieze,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