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a Kyoungmi Lee
이경미

  

CITY CRACK

    코로나19가 남기고 간 질문. 2022     
    ︎︎︎왜, 지금, 혐오와 이주인가? (Text)    
    1인을 위한 테이블, 함께에 관한 물음들. 2021
    ︎︎︎적절한 간격들, 1인분의 삶. (Text)   
    도시를 만드는/도시로 만들어진 감정의 지형들. 2020
    ︎︎︎주체와 자리, 새겨진 감정들. (Text)  
    가상의 음식지형과 도시의 틈새들. 2019
    ︎︎︎1인 미디어에서의 먹기와 음식지형들. (Text)  
    ︎︎︎비통제의 플랫폼, 고가하부와 1인 미디어. (Text)


PUBLIC PUBLIC
    2045 거주(불)가능도시. 2024
    ︎︎︎ 에너지학교. (Seminar)    
    ︎︎︎ 새들을 위한 기념비. (Workshop)
    ︎︎︎ 일렉트립. (Local Trip)    
   신흥동 표류기 Records of Drift in Shinheung. 2023
   Document the Undocumented. 2022
   소멸지역 피칭데이. 2022
  

점점점 프레스 Gemgemgem Press
    박혜수 비평집. 2024
    ︎︎︎질문하는 사람. (Web page)
    ︎︎︎A Questioner. (Web page)
    로컬 매거진. 2024-


10000 ARTS 10000 ACTS

    ?THE NEXT!. 2022-23
    New Play, New Connection, New Normal. 2020-21
    ︎︎︎누가 광장을 두려워하랴? (Text)   
    ︎︎︎고립된 서사로부터 우리를 구출하는 법. (Text)
    ︎︎︎당신의 마음을 방역해 드립니다. (Text)   
    ︎︎︎포럼: 공공에서 공감으로. (Video)
    ︎︎︎아카이빙 북. (Publication)
    Playful - 고가아래 신나는 예술놀이터. 2019
    ︎︎︎해방된 놀이의 예술. (Text)
    옥수역 고가아래 공공예술 Playful. 2018
    ︎︎︎경험으로서의 예술: 골목에서 고가하부까지. (Text)  
    성수동 골목에서 즐기는 공공미술. 2017


토론극장: 우리_들 Forum Thatre: URI

    여기, 관객들이 있다. 2020 (Text)
    출판물 <토론극장: 우리-들>. 2020 (Publication)
    토론극장 2021 리뷰. 2021 (Video) 
    토론극장 9-10막. 2022 (Project)


금천아티스트랩 Geumcheon Artist Lab

    14인의 목소리 14 Voices from Here. 2022
    ︎︎︎만남과 대화가 만들어내는 예술. 2022 (Text)
    ︎︎︎이들이 금천이다. 2022 (Video)
    계란후라이, 선홍빛, 나, 골드베르크. 2021
    ︎︎︎당신이 먹는 음식이 곧 당신이다. 2021 (Text)
    ︎︎︎웨비나-토크 프로그램. 2021 (Video) 
    금천아티스트랩. 2021-2022 (Website)


작은 테이블과 큰 물음들 Small Table, Big Question

    작은 테이블과 큰 물음들. 2020-2021 (Website)
    참여 기획전<TranstopiaⅠ>. 2021 (Video)
    성남 원도심과 개인을 가로지르는 것들. 2021 (Text)


사라지지 않는 1

    태평 빈집 프로젝트. 2019 (Exhibition)
    성남 원도심을 만들어 온 개인들을 찾아서. 2019 (Text)
    국제 학술지 리뷰 <Public Art 公共艺术>. 2021 (Text)


하얀 벽의 고백 Voices from the Walls
     전시 구성. 2023 (Exhibition)
     전시 서문. 2023 (Text)


TEXT

    횡단하는 천川으로 땅의 도시를 감각한다는 것. 2023  
    도시의 미래를 '지금 여기'의 삶으로. 2023
    얽힘의 장면들. 2023
    몸의 좌표에서 해방되는 과정의 예술. 2023
    미미한 것들의 이름을 찾는 여정. 2023
    비행기 소리의 소리의 소리: 소리에 체화된 기억. 2023
    공공예술을 말할 때 이야기 하지 않는 것들. 2022
    식탁 위의 예술 Art on the Table. 2022
    창발하는 순간들을 조우하며. 2022
    미래도시를 잉태하는 장소로서의 건축적 공간. 2021    
    다른 존재 되어 보기. 2021    
    인간과 기계, 공진화하는 주체들. 2021    
    무지개 너머 어딘가에. 2021
    불완전한 감각의 공간. 2020 
    새로운 ‘모뉴먼트’를 향하여. 2020 
    의미가 있던 자리. 2020 
    당신의 상상을 품은 달. 2020
    비가시적인 삶들이 조우하는 소리의 풍경. 2020
    실험의 공간, ‘유리-거울’ 건축. 2018
    맥락이 지워진 공간에 대한 탐색. 2016
    그것은 나타나지 않을 것. 2016
    좀 더 어두운 숲 A bit more darker forest. 2016
    시간의 향기 The Scent of Time. 2014    
    바람 불면 When the wind blows. 2014 
    자연스러운 Natural. 2014 
    발견하는 사람, 예술가. 2011
    도시적 공간에 대한 오마주. 2011
    The Simple Life Part 2. Pastoralism. 2011
    A Pictorial Scene. 2011


UPCOMING

    이주, 혐오, 코로나, 서울, 암스테르담. 2022- (Project)
    질문하는 사람 - 박혜수 비평집 발간. 2022-2024 (Publication)
    CITY CRACK #5. 2023 (Publication)
 

ABOUT 

Copyright © 2021-2024, Mia Kyoungmi Lee, All rights reserved.



Mark

TEXT
시간의 향기  Duft der Zeit



온라인과 웹 기반의 소셜 활동과 영상과 스냅샷을 바탕으로 한 이미지의 홍수, 스마트폰으로 확인하는 점점 더 짧은 주기의 '뉴스피드'는 서사적이고 단선적인 세계질서의 종언을 초래하였다. 망막을 스치고 지나가는 수많은 이미지 정보들은 다량의 시각적 자극과 함께 금세 휘발된다. 지속성이 없는 정보와 체험이 진정한 의미의 지식이나 경험을 대체하는 오늘날, 원자화된 시간 앞에서 우리는 방향성과 지속성을 상실하고 말았다. 재독철학자 한병철은 이러한 시대적 징후 속에서 대안적인 방향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 '사색적인 삶(vita contemplative, contemplative life)'으로의 복귀이다.


'삶은 사색적 능력을 회복할 때, 활동하는 것 이상의 존재가 되며, 시간과 공간을, 지속과 넓이를얻을 것이다.'  -p.181, <시간의 향기:머무름의 기술> (한병철 (김태환 옮김), (주)문학과지성사, 2013 (2009)


그에 따르면 사색 없는 양적인 활동성이 중심이 되는 생활은 제작과 파괴의 가속화와 반복으로 시간이 소모된다. 그리고 여가 시간에 조차 계속 노동의 강제에 예속되어 있는 까닭에 시간과 다른 관계를 맺지 못한다고 말한다. 반면 사색적 머무름은 무언가가 일어나고 벌어지게 놓아두고 이 시간을 승인하는 과정으로, 시간을 주고 존재를 넓힌다고 주장한다. 시간에 쫓기고 시간을 허무하게 써버리는 현대인들이 진정한 시간에 대한 감각을 되찾을 수 있는 방법이란 '사색적인 삶', 즉 쳇바퀴와 같은 패턴에서 벗어나 행동을 멈추고 그 순간 드러난 세계의 모습을 가만히 마주하고 관찰하는 태도일 것이다.

금호창작스튜디오 9기 입주작가로 구성된 전시 <시간의 향기(Duft der Zeit)>는 예민한 시선과 면밀한 집중력으로 시간에 무게를 더해주던 의미의 중심, 의미의 중력을 되찾고자 하는 아홉 작가들의 이야기이다. 그들은 창작활동을 통하여 반복된 삶과 과잉된 정보로 느슨한 사유와 감각으로부터 스스로를 일깨우고, 작품들을 통하여 보는 이에게 파편적인 시간과 분산된 관심사에 둘러싸인 우리의 시공간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한다.

일상의 시공간을 무대로 사물과 일상적 행동들을 면밀히 관찰하고 이를 재해석하는 영상과 설치작업을 해오고 있는 김민경 작가, 언어, 가치, 기호와 같은 체계들이 본래의 의도에서 이탈되고 전복되는 현상을 흥미롭게 보여주는 설치작업을 펼치는 김상진 작가, '사진-설치-회화'의 제작과정을 통하여 존재와 허구, 시공간의 여러 층위가 집적된 가상의 풍경을 연출하는 김수연 작가, 사소한 풍경과 일상적 장면의 페인팅으로 내부의 개인적 불안함을 보여주는 서재민 작가, 신체적 폭력과 심리적 트라우마에 가려진 인간 본연에 대한 모습을 페인팅과 텍스트를 통해 전달하는 이지현 작가, 구체적인 내러티브가 부재한 장면을 페인팅과 드로잉으로 제작하는 임소담 작가, 불안정한 사회가 주는 결핍에서 벗어나 이상향을 그리는 현대판 '귀거래도'를 제작하는 정연지 작가, 한 점의 풍경 속에 사계절의 시간적 흐름을 누적시켜 보여주는 허수영 작가, 마지막으로 홍지연 작가는 사람들이 직면하는 '객관적인 실재'와 그것을 받아들이는 개인적 차원의 '인지된 실재'의 간극에 초점을 둔 다양한 입체, 평면작업을 선보인다. 이들은 삶의 서사성이 사라진 일상과 기존 가치에 예민하게 반응하며 시공간 이면의 의미를 되새겨보고자 한다.

시간은 지속성과 방향성을 지녔을 때 흘러가지 않고 의미를 지닌다. 1여 년간의 입주기간 동안 노력의 결실로 완성된 작품들을 한자리에 모은 이번 전시는 그렇기 때문에 가치 있는 시간을 보여준다. 또한 전시기간에 개최되는 비평워크샵은 평론가와 큐레이터로 이루어진 전문가들의 평론글과 코멘터리로 구성되어 이 젊은 작가들에게 스스로의 위치와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번 전시의 작품들을 통하여 관람자 스스로가 시간을 대하는 태도를 다시금 성찰하고, 진정한 안식을 위한 사고의 전환을 꾀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e Scent of Time - Duft der Zeit


Any descriptive, unilateral world order comes to an end due to web-based social activities, the flood of video and snapshot images, and the “new speed” caused by smart phones. Countless fleeting images immediately die out alongside the huge amount of visual stimuli. We have lost our direction and continuity as authentic knowledge and experience is replaced with inconsistent information and experience today. “A return to contemplative life” is the direction Han Byeong-cheol, a philosopher residing in Germany, presents as an alternative.


“When we recover our faculty to contemplate, our lives will become more than our existence, gaining more time and space than ever.” (The Scent of Time, p.181.)


For the philosopher, life without contemplation may accelerate consumption of time through a short-term repetition of production and destruction. He says that people cannot enter another type of relation with time since they are subject to forced labor even in their spare time. He claims that one’s existence can be broadened through their contemplative retention as a process of granting this time of contemplation. Contemporary humans spending their time in vain may restore their true sense of time through their “contemplative life” or their meditative attitude facing and observing the world at every moment.

The Scent of Time (Duft der Zeit) is an exhibition that brings together narratives of the 9th-term Kumho Art Studio resident artists who have tried to retrieve meaning lending weight to time with their keen perspectives and concentration. They awaken their thought and sensation, providing viewers with new insights into our space-time under the influence of fragmentary time and scattered concerns.

Participating artists are Minkyung Kim working in video and installation in which she closely observes and reinterprets daily behaviors on the stage of everyday space-time; Sangjin Kim working in installation in which he interestingly demonstrates a phenomenon where language, value and signs deviate from their original meaning; Suyeon Kim creating imaginary scenes with layers of space-time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ng her photographs, installations, and paintings; JaeminSeo who displays his inner anxiety in painting featuring everyday scenes; Jihyun Lee who unveils the true nature of humans concealed by physical violence and psychological trauma; Sodam Lim who captures scenes with no concrete narratives in painting and drawing; Yonji Chung who produced a modern version of painting of return to home (歸去來圖) featuring a utopia free from unstable society; SuyoungHeo displaying the overlapping passage of the four seasons accumulated in a scene; and Jiyon Hong who presents a diversity of three-dimensional and two-dimensional works focusing on the gap between “objective reality” and “perceived reality”. These artists intend to recollect meaning hidden behind space-time, responding sensitively to everyday life with no narrativity and established value.

When one’s time is of significance, one feels it has its own consistency and direction. This exhibition brings together works completed during a one year residency. The young participating artists will have a chance to orient themselves in the critical workshop to be held alongside the exhibition in which critics and curators share their critical essays and commentaries. In closing, it is hoped the exhibition will serve as momentum for viewers to inwardly think about their attitude toward time and attempt a shift in their thinking for true repose.



* 본 글은 금호창작스튜디오 9기 입주작가전(2014)을 위한 서문임을 밝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