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기획자 ⋅ 연구자.
시각예술을 매개로 삶의 장소와 개인이 지닌 잠재성의 순간을 발견하고자 예술가들과 프로젝트를 기획 및 협업하고 있다.
현재 PUBLIC PUBLIC의 공동 디렉터이자 점점점 프레스(GemgemgemPress) 편집장이며, 도시연구 출판 프로젝트인 CITY CRACK을 발행하고 있다.
정치적 주체의 장소는 틈새 혹은 균열이다”라는 랑시에르(Jacques Rancière) 말처럼, 도시의 일상적인 장소들에서 틈새와 균열을 찾는 것. 그 안에서 라벨링 되지 않은 의미들을 발견하고, 새로운 관계들을 넣어보면서 몫 없는 개인들이 정치적인 주체로 거듭날 수 있도록 시도하는 것. 이것이 예술의 중요한 임무이자 미덕이라고 생각한다.
︎ Instagram @mia_kyoungmi_lee
︎ mia.oneredbag@gmail.com
︎ miakyoungmilee.com
학력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대학원 디지털문화정책 박사과정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예술학 석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예술학 학사
주요 경력
2024-2025 ‘프로젝트 해시태그 5주년: 경계너머 마주한 것들’ 기획 및 운영 / MMCA 주최, 현대차 후원
2024 ‘2045 거주(불)가능도시’ 총괄기획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후원
2023-2024 BARE ‘순환도시’, ‘에어폴리’ 협력기획 / 광주비엔날레재단, ACC
2023 ‘하얀 벽의 고백’ 기획 / 호반문화재단, H아트랩 주최
2022 CITY CRACK #4 발행
2022 전시 ‘14인의 목소리’ 기획 / 금천문화재단 주최
2022 ‘토론극장: 우리_들’ 9-10막 공동기획 / 박혜수 작가
2022-2023 ‘?THE NEXT!’ 큐레이팅/ (주)유쾌한 주최, 만아츠 만액츠 주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후원
2021 CITY CRACK #3 발행 / 성남문화재단 주최
2021 전시 ‘계란후라이, 선홍빛, 나, 골드베르크’ 기획 / 금천문화재단 주최
2021 제로원랩 크리에이터 멘토링 큐레이터/ ZER01 주관
2021 ‘토론극장: 우리_들’ 6-8막 공동기획 / 박혜수 작가
2020-2021 ‘New Play, New Connection, New Normal’ 큐레이팅/ (주)유쾌한 주최, 만아츠 만액츠 주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후원
2020-2021 ‘작은 테이블과 큰 물음들’ 지역연구 프로젝트 기획 / 성남문화재단 주최
2020 CITY CRACK #2 발행 / 성남문화재단 주최
2019 CITY CRACK #1 발행 / ACC 주최
2019 ‘토론극장: 우리_들’ 1-5막 공동기획 / 박혜수 작가
2019 태평 빈집 프로젝트 ‘사라지지 않는 1’ 기획 / 성남문화재단 주최
2018-2019 KOTRA 아트콜라보(Art Collaboration) 사업 컨설팅 자문 및 전시 기획 / KOTRA 주최·㈜위누 주관
2018 ‘옥수역 고가아래 Playful’ 큐레이팅/ (주)유쾌한 주최, 만아츠 만액츠 주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후원
2017 ‘서울숲길 골목’ 큐레이팅/ (주)유쾌한 주최, 만아츠 만액츠 주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후원
2009-2016 금호아시아나문화재단 금호미술관 학예연구실 큐레이터/어시스턴트 큐레이터
연구 및 레지던시
2022 호반문화재단 H아트랩 이론가(기획자) 입주
2020-2021 성남문화재단 공공예술창작소 기획자 입주
2019 ACC_R 레지던시 미디에이터(기획자) 입주
2016 ARKO 한국예술창작아카데미 연구자(큐레이터) 선정
Copyright © 2025, Mia Kyoungmi Lee, All rights reserved.